이전 글에서 Plant Project를 수행하는 회사(member)들이 어떻게 되는지 대략적으로 설명 하였었다. 이번에는 EPC Contractor 에서 Project 를 수행 하기위한 조직 구조를 설명 하고자 한다.
이번에 말하려는 조직구조는 모든 회사/project team들에 동일 적용 되는 것이 아님을 우선 인지 하였으면 한다. 즉, 회사규모에 따라, 혹은 project 의 규모 및 성격에 따라 운영하는 조직들이 조금씩 다르다. 이 글이 적용되는 사항은 발전플랜트(Power Plant)에 적용되는 내용이 아니라 석유화학플랜트 및 기타 플랜트에 적용되는 내용이다. 발전플랜트의 Project team 구성은 본 내용과는 상이한 부분이 많다는 것을 인지하였으면 한다.
이제 사족은 배재 하고 본론으로 들어 가 보자. 전제는 시공사가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을 모두 관리를 하는 Project 를 수주 했다는 것이다. 이 글을 쓰는 나의 시야는 이전에 근무 했었던 Third Party Inspection Company 에서 바라 보기 때문에, 객관적인 자료가 아님을 알아 주셨으면 한다.
Project team 의 구성
이제 사족은 배재 하고 본론으로 들어 가 보자. 전제는 시공사가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을 모두 관리를 하는 Project 를 수주 했다는 것이다. 이 글을 쓰는 나의 시야는 이전에 근무 했었던 Third Party Inspection Company 에서 바라 보기 때문에, 객관적인 자료가 아님을 알아 주셨으면 한다.
Project team 의 구성
어느 Project 든 해당 project 를 수행 하기 위해서는 project team 이 꾸려 진다. 이 Project team은 Project Manager(이하 PM), Project Engineer(이하 PE), Lead engineer 등등 으로 조직이 구성되는데, 본 프로젝트의 의사 결정권은 PM 에게 있다. 주위의 PE들은 PM 의 수족이자 눈과 귀가 된다. 그만큼 PE라는 존재는 하나 둘이 아니다(Project 규모가 클 경우에는 때에 따라5~6명이 있기도 하다). 이 PE 들은 PM의 업무를 보조하는 위치로서 프로젝트의 자금관리부터 스켸쥴 관리, 인원 투입관리(Man-power & Man-hour 관리) 등의 세심한 부분 하나하나 들여보고 PM에게 보고하는 위치이다.
PM 조직만 있다고 해서 Project 를 원활히 수행 할 수 없다. 실제 Project 를 수행을 하는 부서는 크게 Engineering div.(division), Procurement div., Construction div.으로 나눠 진다. Project team 이 구성될 때에는 각각의 div.에서 Lead engineer 및 engineers 의 적절한 배치가 이루어 진다. 즉, 설계부서(Engineering), 구매-조달부서(Procurement), 시공부서(Construction)들은 이미 회사에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Project 수행을 위해 인원이 차출 되는 형태 인 것이다. 조금더 자세히 이야기 하자면, 차출된 인원들이 기존 업무를 하는 장소가 아닌 다른 곳에서 Project 를 수행하는 것이 아닌, Project team 의 일원으로 배정(assign)되어 업무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PM 조직만 있다고 해서 Project 를 원활히 수행 할 수 없다. 실제 Project 를 수행을 하는 부서는 크게 Engineering div.(division), Procurement div., Construction div.으로 나눠 진다. Project team 이 구성될 때에는 각각의 div.에서 Lead engineer 및 engineers 의 적절한 배치가 이루어 진다. 즉, 설계부서(Engineering), 구매-조달부서(Procurement), 시공부서(Construction)들은 이미 회사에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Project 수행을 위해 인원이 차출 되는 형태 인 것이다. 조금더 자세히 이야기 하자면, 차출된 인원들이 기존 업무를 하는 장소가 아닌 다른 곳에서 Project 를 수행하는 것이 아닌, Project team 의 일원으로 배정(assign)되어 업무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EPC 부서의 대략적 업무이해
앞서 말한 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에 대한 팀의 세분화는 다음과 같다.
Engineering div. 은 초기 견적 및 발주단계(vendor로의)부터 project 에 영향을 미친다. site(현장)에 어떻게 설치 할것인지, 배관 라인은 어떻게 배치를 해야할지, 어떤 사양의 물건들이 필요 한지 등을 수치적으로 계산하고 project 방향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 할 정도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통상적으로 plant project 수주 후 modeling 을 하는 사전 작업에 많은 시간을 할애 하게 된다. 사람일이 그렇듯이 항상 설계를 했다고 완벽하지가 않다. 기초 설계이후 실물이 설치 될때까지 engineer들이 자신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 각 item (대분류로 나누자면 piping-PI, machinary-MA, instrument-IN, electronic-EL, package-PA engineering team 과 같이 볼 수 있을 것이다)에 대한 engineer들의 충분한 배치가 전제가 되지만, Project 예산에 따른 효율적 인원 배치를 고려하다 보니 사람이 부족하다. 향후 불확실한 수주를 고려 하다보니 Project 성 계약직 혹은 기간제 계약직 인원들을 채용하여 업무를 진행하는데, 이는 설계팀 뿐만 아니라 다른 부서에도 계약직원들을 채용하여 Project 를 운영하고 있다.
석유화학플랜트의 경우에는 설계팀에서 공정(Process)팀으로부터 PFD, P&ID 등의 정보를 받고, 시공팀으로 부터 Loading data 등의 정보를 받아 설계를 진행한다.
Procurement 는 크게 나눈다면 '구매, 조달, 품질' 로 나뉠 수 있다. 이따금 씩 다른 EPC 에 발주를 주기도 하고 Third party 에 발주를 주기도 한다. 하지만, Project 규모가 작다면 Procurement 의 업무를 Project management team 에서 모두 수행하기도 한다. 본 div.의 업무를 대략적으로 살펴 본다면 다음과 같다.
'구매'에서는 설계부로 부터 작성 된 data 들을 기반으로 vendor로 입찰 요청 및 발주를 낸다. 공무등의 일 또한 구매의 업무 중 하나 이며, 그외 Project 수행을 위한 모든 구매 행위에 관여를 한다.
'조달'에서는 자재 조달에 대한 모든 schedule(delivery schedule, FOB, SRD 등등)을 관리한다. 때때로 Third Party Expeditor(TPE) 를 고용하여, vendor 의 제작 현황과 schedule을 관리 한다. 더불어 site에서 필요한 공구 및 장비를 조달한다. 기회가 된다면 다음에 구매와 조달에 대하여 따로 다루도록 하겠다.
'품질'에서는 조달 될 물건에 대한 제적 전 후의 평가 및 점검을 수행 하는 부서로서, 설계팀의 요구조건에 따라 업무를 수행한다. 때때로 필요에 의해 Third Party Inspector(TPI) 를 고용하여, 품질 검사 업무를 수행한다. 품질과 TPI 에 대한 내용은 다음에 다루기로 하겠다.
Procurement 는 크게 나눈다면 '구매, 조달, 품질' 로 나뉠 수 있다. 이따금 씩 다른 EPC 에 발주를 주기도 하고 Third party 에 발주를 주기도 한다. 하지만, Project 규모가 작다면 Procurement 의 업무를 Project management team 에서 모두 수행하기도 한다. 본 div.의 업무를 대략적으로 살펴 본다면 다음과 같다.
'구매'에서는 설계부로 부터 작성 된 data 들을 기반으로 vendor로 입찰 요청 및 발주를 낸다. 공무등의 일 또한 구매의 업무 중 하나 이며, 그외 Project 수행을 위한 모든 구매 행위에 관여를 한다.
'조달'에서는 자재 조달에 대한 모든 schedule(delivery schedule, FOB, SRD 등등)을 관리한다. 때때로 Third Party Expeditor(TPE) 를 고용하여, vendor 의 제작 현황과 schedule을 관리 한다. 더불어 site에서 필요한 공구 및 장비를 조달한다. 기회가 된다면 다음에 구매와 조달에 대하여 따로 다루도록 하겠다.
'품질'에서는 조달 될 물건에 대한 제적 전 후의 평가 및 점검을 수행 하는 부서로서, 설계팀의 요구조건에 따라 업무를 수행한다. 때때로 필요에 의해 Third Party Inspector(TPI) 를 고용하여, 품질 검사 업무를 수행한다. 품질과 TPI 에 대한 내용은 다음에 다루기로 하겠다.
Construction 의 업무는 말 그대로 site에 시공하는 것이다. Site Construction 시 EPC의 내부인원들이 중장비들을 들고서 일을 한다기 보다 노동자를 고용하여 관리 하며, 필요에 따라 Third Party(HSE-Health& Safety& Environment, Operator-site에 도착한 장비들에 대한 설치 전후 성능시험을 수행 하는 인원, 등등)를 고용하여 업무를 수행한다. 역시 더욱 자세한 이야기는 기회가 된다면, 다음에 다시 다루도록 하겠다.
EPC 이외에는?
EPC 이외에는?
이외에도 Project team 에는 공정부서, 토목부서, 건축부서 등에서 인원들이 차출되어 배치되어 상호협력적으로 Project 를 수행 한다. 하지만, 모두가 사람인지라 어느정도 이혜관계가 존재하긴 한다. 내가 일하는 부서에서 많은것을 떠 맡게 되면, 그만큼 더 일이 많아지기 때문이라 생각하면 조금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EPC 의 일 이라는 것이 "이것 만 한다, 저것 만 한다"로 일축하기는 어렵다. 그만큼 규모가 크고 project 를 수행 하는 인원들이 각각의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같은 EPC에 있는 사람들 또한 다른 사람들이 수행하는 업무에 대해 다 알지 못하는 것을 알아 두었으면 한다.
EPC 의 일 이라는 것이 "이것 만 한다, 저것 만 한다"로 일축하기는 어렵다. 그만큼 규모가 크고 project 를 수행 하는 인원들이 각각의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같은 EPC에 있는 사람들 또한 다른 사람들이 수행하는 업무에 대해 다 알지 못하는 것을 알아 두었으면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